맨위로가기

알폰소 페레로 라 마르모라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알폰소 페레로 라 마르모라는 이탈리아의 군인이자 정치가로, 사르데냐 왕국과 이탈리아 왕국에서 중요한 역할을 수행했다. 1804년 토리노에서 태어나 사르데냐 왕국 육군에 입대하여 군 경력을 시작했으며, 페스키에라 공방전에서의 활약으로 진급했다. 그는 제노바 반란 진압, 크림 전쟁 참전, 오스트리아 제국과의 전쟁 참여 등 군사적 활동을 펼쳤으며, 사르데냐 왕국 총리와 이탈리아 왕국 총리를 역임했다. 총리 재임 기간 동안 로마 점령에 대한 국민적 열망을 반영하여 9월 협약의 범위를 수정하는 등 정치적 행보를 보였다. 1866년 프로이센 왕국과의 동맹을 통해 제3차 이탈리아 독립 전쟁에 참여했으나 쿠스토차 전투에서의 패배로 비판을 받기도 했다. 이후 프랑스의 로마 원정에 반대하며 파리에 파견되었고, 1870년 이탈리아의 로마 점령 이후에는 신수도의 왕실 부관으로 임명되었으며 1878년 피렌체에서 사망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제3차 이탈리아 독립 전쟁 관련자 - 주세페 가리발디
    주세페 가리발디는 이탈리아의 군사 지도자이자 정치인으로, 이탈리아 통일 운동에 헌신하며 남아메리카와 유럽에서 활약하여 '두 세계의 영웅'으로 불리고 1860년 시칠리아에서 '천인대'를 이끌어 이탈리아 통일에 결정적인 역할을 한 국민적 영웅이다.
  • 크림 전쟁 관련자 - 압뒬메지트 1세
    압뒬메지트 1세는 오스만 제국의 제31대 술탄이자 이슬람 칼리프로, 탄지마트 개혁을 통해 제국 근대화를 시도했으나 보수 세력의 반발과 외세 간섭, 외채 증가 등으로 어려움을 겪었다.
알폰소 페레로 라 마르모라 - [인물]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크림 전쟁 1854-56
이름알폰소 페레로 라 마르모라
로마자 표기Alfonso Ferrero La Marmora
출생1804년 11월 18일
출생지프랑스 제국, 토리노
사망1878년 1월 5일 (향년 73세)
사망지이탈리아 왕국 피렌체
정치 경력
소속 정당무소속
충성
군사 경력
복무 기간1823년–1866년
참전제1차 이탈리아 독립 전쟁
크림 전쟁
제2차 이탈리아 독립 전쟁
브리간타조
제3차 이탈리아 독립 전쟁
주요 직책
제6대 이탈리아 수상monarch: 비토리오 에마누엘레 2세
predecessor: 마르코 밍게티
successor: 베티노 리카솔리
term_start: 1864년 9월 28일
term_end: 1866년 6월 20일
사르데냐 왕국 수상monarch2: 비토리오 에마누엘레 2세
predecessor2: 카보우르 백작
successor2: 카보우르 백작
term_start2: 1859년 7월 19일
term_end2: 1860년 1월 21일

2. 생애

가리발디와 라 마르모라 장군


라 마르모라의 초상화


알폰소 페레로 라 마르모라는 1804년 11월 토리노에서 태어나 1823년 사르데냐 왕국 육군에 입대했다. 1848년 3월 페스키에라 공방전에서 뛰어난 활약으로 대위에서 소령으로 진급했고, 같은 해 8월 5일 밀라노에서 혁명주의 반군으로부터 카를로 알베르토를 구출했다.[8][1] 그해 10월 장군으로 진급 및 전쟁 장관에 임명되었으며, 1849년 제노바 반란을 진압한 후 크림 전쟁에 참전했다.[8]

1859년 오스트리아 제국에 맞선 전쟁에 참전했고, 이후 카밀로 벤소 디 카보우르 백작의 뒤를 이어 사르데냐 왕국의 수상이 되었다.[8] 1860년 이탈리아의 통일을 인정받기 위해 베를린상트페테르부르크에 파견되었고, 곧 밀라노와 나폴리의 주지사를 거쳐 1864년 9월 마르코 민게티의 뒤를 이어 이탈리아 왕국의 총리가 되었다.[8][1]

총리 재임 중, 라 마르모라는 로마 점령에 대한 국민적 열망을 존중하여 9월 협약의 범위를 수정, 이탈리아에 완전한 행동의 자유를 주장하는 각서를 발표했다. 이는 훗날 에밀리오 비스콘티 베노스타가 1870년 로마 점령을 정당화할 때 이용되었다.[8][1]

1866년 4월, 라 마르모라는 프로이센 왕국과 군사동맹을 체결하고 제3차 이탈리아 독립 전쟁에서 육군 군단을 지휘했다.[8] 그러나 그는 쿠스토차 전투에서 패배하여 이탈리아 침공 초기에 주저하는 모습을 보였다는 비판을 받았으며, 이 전투에 대한 책임으로 재판에 회부되었다.[8][2] 그는 자신의 전술을 변호하기위해 1873년 ''Un po' più di luce sugli eventi dell'anno 1866'' ("1866년 사건에 대한 좀 더 많은 빛")을 출판하기도 했다.[1]

1867년 프랑스의 로마 원정에 반대하기 위해 파리에 파견되었고, 1870년 이탈리아의 로마 점령 이후에는 신수도의 왕실 부관으로 임명되었다. 1878년 1월 5일 피렌체에서 사망했다.[8][1]

2. 1. 사르데냐 왕국 시대



알폰소 페레로 라 마르모라는 1804년 11월 18일 토리노에서 태어나 1823년 사르데냐 왕국 육군에 입대했다.[3] 1848년 3월, 페스키에라 공방전에서 뛰어난 모습을 보여 대위에서 소령으로 진급했다.[1] 1848년 8월 5일, 밀라노에서 일어난 혁명주의 반군으로부터 카를로 알베르토를 구출했다.[8] 같은 해 10월에는 장군으로 진급, 페로네 내각에서 전쟁 장관에 임명되었다.[3] 이후 조베르티, 다제글리오, 카보우르 내각에서도 전쟁 장관을 역임했으며, 사르데냐 왕국이탈리아 왕국으로 개편될 때까지 총 7번이나 전쟁 장관에 임명되었다.[4] 1849년 제노바에서 일어난 반란을 진압한 후, 크림 전쟁에 참전하여 사르데냐 왕국의 국제적 지위 향상에 기여했다.[3]

1859년 제2차 이탈리아 독립 전쟁에 참전했다.[4] 초기에는 전선에서 지휘를 맡았으나, 전시 상황을 고려하여 카보우르가 퇴진한 후 군인이면서도 사르데냐 왕국 총리에 취임하여 전시 내각을 조직하고 토리노에서 군을 지휘했다.[4] 그는 군인 출신으로는 마지막 사르데냐 왕국 총리였다.[3] 1860년, 이탈리아의 통일을 인정받기 위해 베를린상트페테르부르크에 파견되었고, 곧 밀라노나폴리의 주지사가 되어 1864년 9월에 임기를 마쳤다.[8]

2. 2. 이탈리아 왕국 시대

알폰소 페레로 라 마르모라는 1804년 11월 토리노에서 태어나 1823년 사르데냐 왕국 육군에 입대했다. 1848년 3월 페스키에라 공방전에서 뛰어난 활약으로 대위에서 소령으로 진급했고, 같은 해 8월 5일 밀라노에서 혁명주의 반군으로부터 카를로 알베르토를 구출했다.[8][1] 그해 10월 장군으로 진급 및 전쟁 장관에 임명되었으며, 1849년 제노바 반란을 진압한 후 크림 전쟁에 참전했다.[8]

1859년 오스트리아 제국에 맞선 전쟁에 참전했고, 이후 카밀로 벤소 디 카보우르 백작의 뒤를 이어 사르데냐 왕국의 수상이 되었다.[8] 1860년 이탈리아의 통일을 인정받기 위해 베를린상트페테르부르크에 파견되었고, 곧 밀라노와 나폴리의 주지사를 거쳐 1864년 9월 마르코 민게티의 뒤를 이어 이탈리아 왕국의 총리가 되었다.[8][1]

총리 재임 중, 라 마르모라는 로마 점령에 대한 국민적 열망을 존중하여 9월 협약의 범위를 수정, 이탈리아에 완전한 행동의 자유를 주장하는 각서를 발표했다. 이는 훗날 에밀리오 비스콘티 베노스타가 1870년 로마 점령을 정당화할 때 이용되었다.[8][1]

1866년 4월, 라 마르모라는 오스트리아 제국에 맞서기 위해 프로이센 왕국과 군사동맹을 체결하고 제3차 이탈리아 독립 전쟁에서 육군 군단을 지휘했다.[8] 그러나 그는 쿠스토차 전투에서 패배하여 이탈리아 침공 초기에 주저하는 모습을 보였다는 비판을 받았으며, 이 전투에 대한 책임으로 재판에 회부되었다.[8][2] 그는 자신의 전술을 변호하기위해 1873년 ''Un po' più di luce sugli eventi dell'anno 1866'' ("1866년 사건에 대한 좀 더 많은 빛")을 출판하기도 했다.[1]

1867년 프랑스의 로마 원정에 반대하기 위해 파리에 파견되었고, 1870년 이탈리아의 로마 점령 이후에는 신수도의 왕실 부관으로 임명되었다. 1878년 1월 5일 피렌체에서 사망했다.[8][1]

3. 평가

3. 1. 긍정적 평가

3. 2. 부정적 평가

4. 저서

참조

[1] 서적 La Marmora, Alfonso Ferrero
[2] 서적 Generali Mondadori
[3] 웹사이트 FERRERO DELLA MARMORA, Alfonso https://www.treccani[...]
[4] 브리태니커 Alfonso Ferrero La Marmora https://www.britanni[...]
[5] 서적 イタリア民族革命‐リソルジメントの世紀
[6] 서적 マッツィーニの思想と行動
[7] 웹사이트 ラ・マルモラ https://kotobank.jp/[...]
[8] 서적 La Marmora, Alfonso Ferrero
[9] 서적 Generali Mondadori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